ESG 데이터

Best Technology,
Better Future

온실가스 배출량 - 국내 사업장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2023(목표)
Scope 1, 2* 온실가스 배출량 합계(Scope 1, 2) tCO₂eq 3,580 5,485 7,130 7,130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tCO₂eq 528 916 1,067 -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 tCO₂eq 3,052 4,569 6,063 -
온실가스 집약도(원단위)** tCO₂eq/(백 만원) 0.0019 0.0026 0.0037 -
Scope 3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임직원 출근*** tCO₂eq - 220 205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범위(대전/양재/강남캠퍼스)
2022년,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범위: 국내 사업장 전체(대전/양재/강남/시흥캠퍼스, 양재건빌딩, 오창사업장), 오창사업장은 23년말 이후 철수

연결재무제표 매출액 기준

개인차량 및 대중교통 이용을 제외하고 활동자료 수집이 가능한 통근버스만을 한정해 2022년부터 산정함

에너지 사용량 - 국내 사업장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2023(목표)
총 에너지 사용량* TJ 72.80 112.52 146.26 179.46
에너지원별
사용량
총계 TJ 72.80 112.52 146.26 -
비재생에너지 소계 TJ 72.80 112.52 146.13 -
휘발유 TJ 1.65 3.07 3.23 -
도시가스(LNG) TJ 8.32 13.98 16.20 -
전기(소비기준) TJ 62.83 95.47 126.70 -
재생에너지 태양광 TJ - - 0.13 -
에너지 집약도** GJ/백만 원 0.0383 0.0531 0.0769 -
에너지 절감량*** GJ - - 33.20 -

에너지 사용량 산정 범위 확대에 따라 전년도 보고서에 공개한 2021년, 2022년 에너지 사용량과 차이 발생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범위(대전/양재/강남캠퍼스)
2022년,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범위: 국내 사업장 전체(대전/양재/강남/시흥캠퍼스, 양재건빌딩, 오창사업장), 오창사업장은 23년말 이후 철수

연결기준 매출액 기준이며, 에너지 사용량 산정 범위 확대에 따라 2021년, 2022년 데이터 재집계한 관계로 전년도 보고서 수치와 차이 발생

대전캠퍼스 일부 노후 LED등 교체로 인한 에너지 효율 개선

에너지 사용량 - 해외 사업장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총 에너지 사용량* TJ 0.97 1.45 1.78
에너지원별
사용량
총계 TJ 0.97 1.45 1.78
비재생에너지 휘발유 합계 TJ 0.68 0.83 1.12
일본 TJ - 0.02 0.03
중국 TJ 0.68 0.81 1.09
전기
(소비기준)
합계 TJ 0.29 0.62 0.66
일본 TJ 0.00 0.08 0.17
중국 TJ 0.29 0.54 0.49

23년도 연결재무제표상 해외사업장 활동 데이터 기반으로 LX세미콘 자체 집계/산정 수치로 미국법인은 제외되었으며 제3자 검증을 받지 않았음.
에너지 열량 환산 시 국내 에너지기본법 시행규칙에 명시된 총발열량을 적용함.

폐기물 발생량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폐기물 발생량* 합계 7.70 12.50 38.38
대전캠퍼스 7.70 12.50 14.27
시흥캠퍼스 - - 24.11

사업장 생활 폐기물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강남캠퍼스/양재캠퍼스의 경우 임대사업장으로 향후 면적 대비 산출하여 반영 예정

용수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공급원별 용수 유입량
(총 취수량)
상수도 29,274 63,669 85,811
지하수 사용하지 않음 사용하지 않음 사용하지 않음
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거나
극심한 지역의 소비량 비율*
% N/A** 19.00 17.10

세계자원연구소(WRI) 물 위험 지도를 통해 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High)지역의 사업장(대전캠퍼스, 오창사업장)과 물 스트레스 지수가 극심한(Extremely High)지역의
사업장(없음)을 확인

2021년은 사업장별 취수량 데이터가 부재하여 비율 산출이 불가함

임직원 환경교육 이수 현황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관리자 자격 취득과정)
대상 인원 - - 1
이수 시간 시간 - - 32
*환경경영 교육
(온라인)
대상 인원 - - 1,541
이수 시간 - - 862

환경경영 교육: 환경경영 주요 개념, 수질/대기/화학물질 관리 등

환경법규 위반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환경법규 위반 건수 법규 위반 0 0 0
벌금 및 과태료 0 0 0
전체 구성원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전체 구성원 종합 1,352 1,688 1,661
국내 총합 1,272 1,581 1,543
남성 1,029 1,277 1,250
여성 243 304 293
해외 총합 80 107 118
남성 58 83 93
여성 22 24 25
정규직 종합 1,317 1,643 1,608
국내 총합 1,237 1,537 1,493
남성 1,008 1,250 1,217
여성 229 287 276
해외 총합 80 106 115
남성 58 82 90
여성 22 24 25
계약직
(비정규직*)
종합 35 45 53
국내 총합 35 44 50
남성 21 27 33
여성 14 17 17
해외 총합 - 1 3
남성 - 1 3
여성 - - -
연령 종합 1,352 1,688 1,661
국내 총합 1,272 1,581 1,543
만 30세 미만 307 456 387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888 1,042 1,063
만 50세 이상 77 83 93
해외 총합 80 107 118
만 30세 미만 25 25 18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2 71 83
만 50세 이상 3 11 17
연령
(비율)
국내 총합 % 100 100 100
만 30세 미만 % 24 29 25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70 66 69
만 50세 이상 % 6 5 6
해외 총합 % 100 100 100
만 30세 미만 % 31 23 15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65 66 70
만 50세 이상 % 4 10 14
지역별 총합 1,352 1,688 1,661
국내 1,272 1,581 1,543
해외 80 107 118
지역별
(비율)
총합 % 100 100 100
국내 % 94 94 93
해외 % 6 6 7

해외사업장 데이터 수집 범위: 미국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데이터 합산 시 반올림으로 인한 단수 차이 발생

계약직(비정규직): 사무지원 등의 업무 수행

여성 구성원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인원 전체 종합 265 328 318
국내 243 304 293
해외 22 24 25
관리직 여성* 종합 3 7 6
국내 3 7 6
해외 0 0 0
임원급 여성 종합 1 1 1
국내 1 1 1
해외 0 0 0
매출발생부서** 종합 29 28 24
국내 20 20 16
해외 9 8 8
STEM부서** 종합 127 174 169
국내 123 170 165
해외 4 4 4
비율 전체 종합 % 20 19 19
국내 % 19 19 19
해외 % 28 22 21
관리직 여성* 종합 % 2 5 5
국내 % 2 5 5
해외 % 0 0 0
임원급 여성 종합 % 8 6 6
국내 % 8 6 6
해외 % 0 0 0
매출발생부서** 종합 % 30 27 26
국내 % 30 28 27
해외 % 29 25 24
STEM부서** 종합 % 14 15 15
국내 % 14 16 15
해외 % 11 8 7

해외사업장 데이터 수집 범위: 미국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팀장, 실장 등 팀원 외 직책자

데이터 집계 기준 변경으로 전년도 보고서 수치와 상이
(전년도: 매출발생부서 및 STEM부서에 소속된 관리직 여성 인원 → 금년도: 매출발생부서 및 STEM부서에 소속된 전체 여성 임직원)

구성원 다양성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장애인 인원 21 27 26
비율(국내 기준) % 2 2 2
국가보훈자 인원 5* 4 5
비율(국내 기준) % 0.4 0.3 0.3
국적 국내 사업장 소계 1,272 1,581 1,543
대한민국 1,258 1,567 1,529
북미 2 2 2
기타 아시아 12 12 12
해외 사업장 소계 80 107 118
대한민국 18 29 29
북미 - - -
기타 아시아 62 78 89

전년도 보고서 대비 2021년 국가보훈자 인원 수 변경

채용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신규 채용* 전체 종합 369 458 127
국내 347 430 108
해외 22 28 19
성별 종합 남성 269 357 100
여성 100 101 27
국내 남성 253 336 86
여성 94 94 22
해외 남성 16 21 14
여성 6 7 5
성별
(비율)
종합 남성 % 73 78 79
여성 % 27 22 21
국내 남성 % 73 78 80
여성 % 27 22 20
해외 남성 % 73 75 74
여성 % 27 25 26
연령별 종합 20대 177 227 44
30대 93 160 47
40대 87 61 23
50대 이상 12 10 13
국내 20대 166 218 41
30대 84 150 43
40대 86 55 18
50대 이상 11 7 6
해외 20대 11 9 3
30대 9 10 4
40대 1 6 5
50대 이상 1 3 7
연령별
(비율)
종합 20대 % 48 50 35
30대 % 25 35 37
40대 % 24 13 18
50대 이상 % 3 2 10
국내 20대 % 48 51 38
30대 % 24 35 40
40대 % 25 13 17
50대 이상 % 3 2 6
해외 20대 % 50 32 16
30대 % 41 36 21
40대 % 5 21 26
50대 이상 % 5 11 37

해외사업장 데이터 수집 범위: 미국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데이터 합산 시 반올림으로 인한 단수 차이 발생

해외 인원 집계 시 주재원 파견 제외(순수 현지채용인 신규채용)

퇴직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퇴직 현황 전체 종합 109 132 150
국내 100 121 141
해외 9 11 9
성별 종합 남성 81 90 111
여성 28 42 39
국내 남성 74 85 106
여성 26 36 35
해외 남성 7 5 5
여성 2 6 4
성별
(비율)
종합 남성 % 74 68 74
여성 % 26 32 26
국내 남성 % 74 70 75
여성 % 26 30 25
해외 남성 % 78 45 56
여성 % 22 55 44
연령별 종합 만 30세 미만 47 38 47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8 91 96
만 50대 이상 4 3 7
국내 만 30세 미만 43 35 42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4 83 93
만 50대 이상 3 3 6
해외 만 30세 미만 4 3 5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4 8 3
만 50대 이상 1 0 1
연령별
(비율)
종합 만 30세 미만 % 43 29 31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53 69 64
만 50대 이상 % 4 2 5
국내 만 30세 미만 % 43 29 30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54 69 66
만 50대 이상 % 3 2 4
해외 만 30세 미만 % 44 27 56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44 73 33
만 50대 이상 % 11 0 11
자발적
퇴직 현황
전체 종합 106 119 133
국내 97 109 126
해외 9 10 7
성별 종합 남성 78 83 100
여성 28 36 33
국내 남성 71 79 96
여성 26 30 30
해외 남성 7 4 4
여성 2 6 3
성별
(비율)
종합 남성 % 74 70 75
여성 % 26 30 25
국내 남성 % 73 72 76
여성 % 27 28 24
해외 남성 % 78 40 57
여성 % 22 60 43
연령별 종합 만 30세 미만 47 34 41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5 84 90
만 50대 이상 4 1 2
국내 만 30세 미만 43 31 37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1 77 87
만 50대 이상 3 1 2
해외 만 30세 미만 4 3 4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4 7 3
만 50대 이상 1 0 0
연령별
(비율)
종합 만 30세 미만 % 44 29 31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52 71 68
만 50대 이상 % 4 1 2
국내 만 30세 미만 % 44 28 29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53 71 69
만 50대 이상 % 3 1 2
해외 만 30세 미만 % 44 30 57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44 70 43
만 50대 이상 % 11 - -

해외사업장 데이터 수집 범위: 미주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데이터 합산 시 반올림으로 인한 단수 차이 발생

해외 인원 집계 시 주재원 귀임 제외(순수 현지채용인 퇴직)

육아휴직*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육아휴직 대상
구성원의 총 수**
남성 286 334 346
여성 21 28 32
육아휴직을 사용한
구성원의 총 수
남성 5 12 21
여성 11 12 14
육아휴직 종료 후 업무에
복귀한 구성원의 총 수
남성 5 3 11
여성 6 4 9
육아휴직 종료 후 업무에 복귀하여
12개월간 근속한 구성원 총 수
남성 1 3 3
여성 2 2 4
육아휴직을 받은 구성원의
복귀율
남성 % 100 100 79
여성 % 86 100 100
육아휴직 종료 후 업무에 복귀하여
12개월간 근속한 구성원 비율***
남성 % 50 60 100
여성 % 67 33 100

데이터 집계 기준 변경으로 전년도 보고서와 수치 상이

인사시스템 상 등록된 가족정보 기준

(직전연도에 육아휴직 복귀 후 당해연도 기준 12개월 이상 근속한 임직원 수)/(직전연도에 육아휴직 복귀한 임직원 수) X 100

정기성과평가 적용 비율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정기성과평가 적용 직원 비율* % 100 100 100
성별 남성 935 1,139 1,220
여성 203 249 265
연령별 만 30세 미만 269 371 385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809 938 997
만 50세 이상 60 79 103
연령별
(비율)
만 30세 미만 % 24 27 26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 71 68 67
만 50세 이상 % 5 6 7

데이터 합산 시 반올림으로 인한 단수 차이 발생

6개월 미만 근무자, 파견인원 등을 제외한 전체 임직원 대상

보수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급여 전체 직원 평균 급여 백만 원 73 88 92
남성 백만 원 78 94 98
여성 백만 원 51 64 67
동등급여 전체 직원 0.65 0.68 0.69
관리직 1.08 0.96 1.01
비관리직 0.73 0.75 0.73
임원 0.54 0.83 0.68
임직원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교육 현황 총 교육시간 시간 36,362 42,085 64,925
총 교육비용 억 원 12 19 22
인당 교육시간 시간 29 27 42
인당 교육 투자비용 천 원 912 1,177 1,423
임직원 인권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시간 1,262 1,646 1,561
1,262 1,646 1,561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시간 1,262 1,646 1,561
1,262 1,646 1,561
23년 사업장 위험성 평가
구분 단위 접수 위험성 미달 개선 대상
합계 909 689 30
양재 408 303 8
강남 312 257 11
대전 150 96 6
오창 6 6 0
시흥 33 27 5
산업안전보건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이수 시간 시간 30,072 39,408 37,614
이수 인원 1,253 1,545 1,520
산업재해 발생현황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구성원 근로손실 발생 건수 0 0 1*
산업재해율 사고 % 0 0 0.06
질병 % 0 0 0
협력사 근로손실 발생 건수 0 0 0
산업재해율 사고 % 0 0 0
질병 % 0 0 0

임직원과 사내계약직 포함

업무와 무관한 경미한 부상

협력사 ESG평가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공급망 ESG 평가 대상 협력사 - 22 22
% - 100 100
공급망 ESG 평가 참여 협력사 - 20 20
% - 91 91

협력사 ESG평가는 22년부터 진행
협력사들은 벤치마크 그룹 대비 전반적으로 높은 ESG 수준을 보였으며, 환경 및 사회적 측면에서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곳은 발견되지 않음
결과 내용은 협력사에 전달하고,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개선 권고

정보보호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정보보호 교육 총 교육시간* 시간 3,723 1,241 1,633
이수 인원* 1,241 1,241 1,633
전담인력 1인당 교육시간** 시간 1,862 414 1,633
정보보호 분야 투자 정보보호 분야 투자 비중*** % 5.2 8.1 6.1

정보보호교육 + 개인정보보호교육

전담인력의 각 교육과정별 연간 교육시간 합계

정보보호 분야 투자 / 전체 IT 예산 * 100

정보보안 사고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개인정보 피해 건수 0 0 0
정보유출 피해 건수 0 0 0
벌금액 0 0 0
이사회 참석률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이사회 개최 7 10 6
이사회 안건 심의 승인 21 22 18
보고 7 11 14
이사회 참석률 사내 % 100 100 94
사외 % 100 96 100
기타비상무 % 100 100 100
전체 % 100 98 97
ESG위원회 보고/승인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ESG위원회
보고/승인
ESG 보고 - 1 4
승인 - 1 -
내부거래 보고 - - 1
승인 - 4 4
컴플라이언스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이사회 이사회 내 대상 인원 3 3 3
이사회 내 이수 인원 3 3 3
임직원 대상 인원 종합 1,272 1,688 1,659
국내 1,272 1,581** 1,541
해외 0 107 118
온라인 준법 교육* 이수 인원 종합 38 1,050 897
국내 38 1,042** 866
해외 0 8 31

해외사업장 데이터 수집 범위: 미국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교육 내용: ‘21년 개인정보보호법, ‘22년 중대재해처벌법, ‘23년 안전환경-산업안전

내부 집계 기준 변경으로 인해 전년도 보고서에 공개한 ‘22년 데이터와 차이 발생

컴플라이언스 교육-유관직무 담당자 대상 심화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공정거래 교육* 대상 인원 0 0 400
이수 인원 0 0 313
하도급법 교육** 대상 인원 0 0 34
이수 인원 0 0 15

유관직무 대상자 심화교육은 ‘23년부터 진행함

영업, 구매, Staff 부서 소속 임직원 대상

ES 생산운영, 기획/영업, 사업운영, 기술개발, 품질관리부서 소속 임직원 대상

법규 위반 현황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법규 위반 건수 0 0 0
윤리규범 적용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윤리규범 적용 비율 임직원 % 100 100 100
계약자/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 100 100 100
서면인지 임직원 % 100 100 100
계약자/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 100 100 100
임직원 정도경영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정도경영
교육현황
교육 이수
시간
종합 종합 시간 1,409 2,225 2,212
근로자 시간 1,272 2,066 2,034
관리자 시간 137 159 177
국내 종합 시간 1,409 2,225 2,168
근로자 시간 1,272 2,066 1,998
관리자 시간 137 159 170
해외* 종합 시간 - - 44
근로자 시간 - - 36
관리자 시간 - - 8
교육 이수
인원
종합 종합 939 1,483 1,474
근로자 848 1,377 1,356
관리자 91 106 118
국내 종합 939 1,483 1,445
근로자 848 1,377 1,332
관리자 91 106 113
해외* 종합 - - 29
근로자 - - 24
관리자 - - 5

'23년 중국법인 중 북경, 심천 분공사 구성원 대상으로 교육 진행

신고 및 조치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윤리규범
위반
건수 종합 3 2 3
국내 2 2 3
해외 1 0 0
인원 종합 3 2 3
국내 2 2 3
해외 1 0 0
윤리규범
위반행위
조치
해고 종합 1 0 0
국내 0 0 0
해외 1 0 0
강직 종합 0 1 0
국내 0 1 0
해외 0 0 0
정직 종합 2 1 1
국내 2 1 1
해외 0 0 0
근신 종합 0 0 2
국내 0 0 2
해외 0 0 0
견책 종합 0 0 0
국내 0 0 0
해외 0 0 0
기타
(권고사직)
종합 0 0 0
국내 0 0 0
해외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