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경영

Best Technology,
Better Future

Governance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를 중심으로 그 하위에 ESG위원회, ESG협의체, 안전환경팀 운영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는 환경경영 관련 안건에 대해 심의·의결하고 환경 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 관리·감독

ESG 협의체는 부서간 협업에 기반하여 회사를 둘러싼 환경경영 안건을 도출하고 환경 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 도출

안전환경팀은 환경경영 방침 및 개선과제 발굴 등 역할 담당

환경목표와 성과는 매년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되며, 내·외부 심사를 통한 Plan(계획)-Do(실행)-Check(평가)-Action(개선)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규제 대응

환경경영 의사결정 체계
environmentalmangement image

Strategy

다양한 환경 이슈 대응 및 법·규제 준수를 위해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기준에 따른 환경·에너지경영 방침 수립 및 대외 공개

환경경영 로드맵

‘미래세대를 고려한 환경가치 제고’를 전사 환경경영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고자 국제 표준인 ISO 14001에 기반한 환경경영 체계 강화

중장기 로드맵 수립 및 세부 추진과제 실행을 통해 환경경영 고도화를 추진

  • ~2023년 arrow image

    환경경영 기반 강화

    국제표준 인증획득 확대 환경데이터 관리지표 설정
  • ~2025년 arrow image

    환경경영 내재화

    목표 수립 및 환경 영향 평가 임직원 환경인식 강화
  • 2026년~ arrow image

    환경경영 고도화

    환경영향 저감 활동 친환경 설비 투자 및 운영
실행계획
① 환경 교육

임직원 및 협력사를 대상으로 환경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시행

[임직원 대상 환경 교육]

점차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2023년 전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환경 관련
온라인 교육 실시

주요 교육 내용(환경경영 필요성, 환경경영 개념/리스크, 대기/수질관리 개념 등)

[환경 담당자 교육]

대기·폐수 등 환경 직무 담당자는 환경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규정

환경사고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

[협력사 LCA 교육]

자사 제품의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을 위해 주요 협력사를 초대하여 고객사와 함께 제품 전과정평가(LCA*) 교육 진행

향후 자사 제품에 대하여 LCA기법을 수행하고, 관련 데이터 모니터링 계획

LCA(Life Cycle Assessment) : 제품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제품의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을 위해 통용됨

② 임직원 환경경영 인식개선/참여 확대

자사 임직원과 함께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2023년 ‘1회용품 제로(ZERO) 챌린지’에 참여

환경부 주관으로 시작된 범국민적 환경 캠페인으로, 일상 속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늘리겠다는 실천 약속을 사회관계서비스망(SNS)에 게재하는 동시에, 다음 참여자를 지명하는 방식

불필요한 종이 사용을 줄이기 위해 종이를 금같이 아끼자는 의미의 ‘지()금()하자’ 캠페인 진행

[인식개선 캠페인]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임직원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캠퍼스 화장실 내 게시판을 활용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하절기, 동절기에 휴()지()노트를 부착

environmentalmangement image

Risk Management

환경영향평가

각 조직의 활동, 설계, 제품 및 서비스가 미치는 환경 리스크와 영향도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실시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모든 경영활동을 대상으로 적용되며 화학물질, 대기오염, 토양오염, 폐기물 배출 등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 중대성과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법·규제 측면에서의 영향도를 종합적으로 분석

환경경영 인증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을 2012년 획득하고, 사업장 확대에 따라
2022년 인증범위를 확대하여 현재 전 사업장에 대한 인증 유지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자사 소유의 에너지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2023년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을 신규 취득

해당 인증을 통해 에너지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 전략 이행

environmentalmangement image
환경영향평가 프로세스
environmentalmangement image

Metrics and Targets

환경법규 위반

사업 활동 시 국내·외 환경 관련 규제 및 법규를 준수하고자 노력

최근 3년간 환경 관련 법규 위반 미발생

환경성과 관리

담당조직 책임자(임원급)-팀장-실무진 대상 전사 환경경영 성과측정 및 개선 강화 위한 KPI 적용

2023년: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공개, ISO 인증 신규획득(ISO 50001) 등

2024년: 친환경 사업장 인프라 구축, Scope 3 관리활동 추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