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및 자원관리

Best Technology,
Better Future

  • arrow right icon
  • arrow right icon
  • 환경
  • arrow right icon
  • 유해물질 및 자원관리

Strategy

환경 유해물질 관리

제품 관련 모든 공정 및 원자재 적합성 승인관리, 환경유해물질 성적서 관리 및 모니터링 시행

제품 환경 안전성 확보 및 국내외 환경규제(탄소저감, 화학물질 등) 강화 대응 필요

고객사별 환경/유해물질 관련 요구사항 대응 역량 지속 강화 추진

구분 관리대상 물질
사용제한물질 RoHS Cd, Pb, Hg, Cr6+, PBBBs, PBDEs, Phthalate(DEHP, DBP, BBP, DIBP)
Halogen Br, CI
안티몬 Sb
베릴륨 Be
관리 물질 REACH EU에서 지정한 SVHC(Substances of Very High Concern) 대상물질을 따름
퍼플루오로옥탄산 PFOA
과불화옥탄술폰산 PFOS
비소 As
폴리염화비닐 PCBs
환경 유해물질 관리 프로세스
resoure usage image

Risk Management

제품 환경유해물질 조사

외부 협력사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 요구사항 및 국제 규격 등을 자사 유해물질 기준에 사전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협력사가 생산 시 사용하는 각종 원∙부자재들의 유해물질 관리 시행

신제품 개발 또는 양산 진행 시 유해물질 국제규격을 준수하기 위한 활동을 SCS(Supplier Collaboration System) 시스템에서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규제물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협력사에서는 자사 기준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제품 승인이 되지 않도록 절차 수립

외주 협력사로 주기적인 QSA(Quality System Audit) 심사를 통해 자사 유해물질 기준 및 국제 규격을 준수하고 있는지 점검하여 시정조치 및 지속 개선 유도

폐기물 저감 활동

캠퍼스 내 발생하는 생활 폐기물은 분리배출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팩, 페트병, 종이 등으로 분리되어 처리

설계 및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PCB기판 및 Chip류의 경우 전용 수거함을 비치하여 별도 폐기